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4)
마인드 원더링 진실로 되고자 하는것에 관한 프로그램을 듣기 위해 밤에 이어폰을 꽂으면 의식으로 들어가지 않고 무의식으로 들어가게 되어 무의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무의식적 프로그램이 당신의 욕망을 찾아내고있다. 사랑에 빠지는것은 매트릭스에서 빨간약을 택하는것과 같다. 의식이 전면에 있을때 희망 소망 원하는것이 창조적으로 의식을 컨트롤한다. 의식이 사색으로 떠나거나 생각을 하거나 하면 무의식의 자동장치가 작동한다. 마음으로 살아가고있다는것은 무의식에 의해 작동되고있다는것이고 그럴때 의식은 그 무엇도 컨트롤하지 못하는것이다. 자동항법에 의해 흘러가는것이다. 마음이 궁금해하고있다는것은 무의식에 의해 작동되고있다는 것이고
스크랩) 교육 개혁-안병영 연대 명예교수 안병영 교수는 “교육을 통해 일어나는 상호작용과 변화는 장기적이고 복합적”이란 점을 적시하며 따라서 교육 개혁은 “장기적 관점에서 설계되어야 하고 그 성과 또한 지속적으로 발효되고 축적될 수 있도록 구상”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그와 같은 이유로 “규범성과 적실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으며 점진적 개혁 추구가 가능한 현실적인 준거 틀로 사회투자 국가(social investment state)론을 들면서 그 모델이 “기회(혹은 생애 기회)의 평등을 강조”하고 지속적 고용능력(sustainable employability)의 제고에 역점을 두는 장점이 있다고 짚는다. 이어서 1996년에 직접 참여해본 ‘5·31 교육 개혁’의 공과를 돌아본 끝에 이제 남은 과제로서 “정권의 수명을 넘어서” 한국 교육의 ..
독후감을 쓰고자 한다. 직장을 그만두는 시점에서 자기관리를 하고자 한다. 1월부터 2월 중순까지 직장생활을 종료하고 독서와 마인드셋 다이어트 그리고 디비 기초 구축에 이르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독후감을 쓰는 요령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책을 준비한다. 목차를 먼저 파악하고 목차로부터 내용을 추론한다. 만약 모르는 용어나 지식이 나온다면 구글링 후에 요약 첨부하도록 한다. 본문 읽기 과정으로 들어가 인상깊은 표현을 옮겨놓고 내 경험으로 재구성한다. 본문 읽기가 끝나면 구성된 내용을 바탕으로 단순한 구조로 요약을 한다. 사용메뉴얼을 만들어본다.
Latex 명령어들 명령어 표시 사용처 \sqrt $\sqrt{\quad }$ 루트 1 \over 2 $1 \over 2$ 나누기 \frac 1 2 $\frac 1 2$ 나누기 \tfrac 1 2 $\tfrac 1 2$ 이건 뭐지?? \dfrac 1 2 $\dfrac 1 2$ 크기유지 나누기 \dfrac{\frac1 2 + 3}{2-4} $\dfrac{\frac1 2 + 3}{2-4}$ \middle $\middle $ \, 한칸 밀기 \; 두칸 밀기 \quad 네칸 밀기 \qquad 여덟칸 밀기 \underline{text} $\underline{text}$ 밑줄긋기 \displaystyle\sum_{\xi\in\mathbb{Z}} $\displaystyle\sum_{\xi\in\mathbb{Z}}$ 시그마 사용 \beg..
곱셈공식에 대한 아이디어 네가지 네가지 아이디어 [전개] $(x+1)(x+1)=x^2 +x+x+1=x^2 +2x+1$ [세로곱] \begin{matrix} \,&\,&x^2&+&2x&+&1\\ \times&\,&\,&\,&x&+&1\\ \hline \,&\,&x^2&+&2x&+&1\\ x^3&+&2x^2&+&x&\,&\, \\ \hline x^3&+&3x^2&+&3x&+&1 \end{matrix} $\qquad x+1 \\ \underline{\times \quad \; x+1 \;} \\ \qquad x+1 \\ \underline{x^2 +x \qquad \;} \\ x^2 +2x+1$ $\qquad x^2 +2x+1 \\ \underline{\times \qquad \quad x+1 \;} \\ \qquad x^2 +2x+1 \\..
문자사용과 형식적 조작기의 이해, 문자에서 숫자로 문제 푸는 기술은 늘지만, 사고력·창의력은 줄어들어 김수연(가명) 양은 초등학생 시절, 장래희망을 '수학자'로 적을 정도로 수학 공부를 가장 좋아했다. 도형의 질량과 부피를 구하는 과정에 큰 흥미를 느껴,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수학책을 손에서 놓지 않고 살았다. 다른 과목에 비해 수학 성적도 높은 편이었다. 그런데 중학생이 된 수연이에게 수학은 가장 싫어하는 과목이 됐다. 이유도, 흥미를 느낄 시간도 가지지 못한 채 문제풀이만을 끝없이 반복해야 했기 때문이다. 늘어나는 공식과 새 단원마다 등장하는 새로운 부호, 문자들 때문에 수연이는 급기야 고등학교에 진학한 후로는 '수포'를 선언하고 말았다. 수연이와 같은 '수포자'는 우리나라 총 고등학생 수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한다. 이런 상황에서 수학을 재밌게 공부..
자유의지의 구성 - 벤자민 리벳의 실험 자유의지에 관한 벤자민 리벳의 실험이 있다. 실험은 다음과 같다. 밴자민 리벳의 실험에 따르면 피실험자가 의지가 생겻다고 느낀 시점 이전에 이미 뇌의 행동에서 반응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행동이 일어나기까지 무려 10초나 전에 반응이 있었다고 한다. 행동하는데 있어 의식적 의지보다 뇌의 반응이 더 빨랐다는것이고, 무의식적 반응에 가까웠다는것으로 인간의 모든 자유의지는 비 의식적이며 무의식적 반응에 가깝다는것으로 결론 내게 된 실험이었다. 심지어는 피실험자에게 왼쪽과 오른쪽 버튼을 두개 주고 의지가 생긴시점에서 어느쪽을 누를지 뇌파를 측정해서 실험자가 80%의 확률로 맞추었다는 보고까지 있다. 피실험자는 의식적 의지 단계 이전에 버튼을 보는것만으로 뇌의 행동영역에서 반응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반응값이 특정 수준..
교육학과 뇌과학의 만남 [사오TV] 교육전공자이며 아직도 교육학을 연구하는 나에게 이 채널은 매우 신선했다. 그동안 접해보지 못했던 특수교육에 관한 퀄리티 높은 학습에 관한정보로 구성되어있으며 여느 교육채널과 결을 달리할만큼 내용적인 퀄리티가 뛰어나고 매우 논리적으로 구성되어져 있어 활용도가 매우 높았다. 앞으로의 컨텐츠 또한 더욱 기대되는바이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8WehOwMTO72Yr6erErwpdA/playl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