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생각들

(3)
두꺼비 아이들에게 1 처음 수업할 때 했던 게 1. 계획 학습량 목표 : 3-1 개념, 유형, 심화, 고등수(상) 개념 기간 목표 연단 위 주간 일간 여태 쌤이 직접 목표량 산출해서 오늘 학습 분량 정해서 나눠줬는데 이제 너희들이 해야 해 이번 방학 동안 반드시 해야 할 것은 3-1 심화까지 해내는 거고, 만약 지난 성적이 70점 이하였던 친구들은 심화 제외하고 유형서 두 번 반복해야 해 권장하는 건 고등 수(상)까지 끝내는 거야. 연단 위 목표 잡으면, 3학년 졸업 방학 때는 고등 유형서랑 심화서를 진행하는 게 좋은데 잘하는 친구들은 심화까지 진행을 겨우 할 수 있을 거고, 아 내가 수학 평민이다 싶으면 고등 유형서 RPM 정도 생각하면 되는데 문제는 분량도 많고 문제도 많고 책이 두꺼워, 만만치 않아. 해서 3학년 시기에..
교육 개혁 학습자의 학습데이터를 기획했던 정보망에 의거하여 수거하고 데이터를 가공하여 지도를 만들어서 개개인에게 공급하면 개인은 완전히 열린 학습의 필드위에서 스스로의 아이디어를 연결가능한 모든 영역에서 탐구하게 하는것 사고의 틀을 벗어나 구조이탈과 재구축의 장에서 완전히 자유로워진 생각들 사이를 누벼나가는것 플로우
스크랩) 교육 개혁-안병영 연대 명예교수 안병영 교수는 “교육을 통해 일어나는 상호작용과 변화는 장기적이고 복합적”이란 점을 적시하며 따라서 교육 개혁은 “장기적 관점에서 설계되어야 하고 그 성과 또한 지속적으로 발효되고 축적될 수 있도록 구상”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그와 같은 이유로 “규범성과 적실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으며 점진적 개혁 추구가 가능한 현실적인 준거 틀로 사회투자 국가(social investment state)론을 들면서 그 모델이 “기회(혹은 생애 기회)의 평등을 강조”하고 지속적 고용능력(sustainable employability)의 제고에 역점을 두는 장점이 있다고 짚는다. 이어서 1996년에 직접 참여해본 ‘5·31 교육 개혁’의 공과를 돌아본 끝에 이제 남은 과제로서 “정권의 수명을 넘어서” 한국 교육의 ..